인터넷 증명서 발급

질환

손목터널증후군(수근관증후군)

수근관이란 손목 앞쪽의 피부조직 밑에 손목을 이루는 뼈와 인대들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작은 통로인데, 이 곳으로 9개의 힘줄과 하나의 신경이 손 쪽으로 통과. 수근관 증후군은 이 통로가 여러 원인으로 좁아지거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여기를 지나가는 정중신경이 손상되어 이 신경 지배 영역인 손바닥과 손가락에 이상 증상이 발생. 평생 이 질환에 걸릴 확률이 50% 이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팔에서 발생하는 신경 질환 중 가장 흔한 질병

원인

수근관을 덮고 있는 인대가 두꺼워져 정중신경을 압박하게 되는 것이 가장 흔한 원인으로 수근 관절 주위의 골절이나 탈구 및 그 후유증, 감염이나 염증성 질환 또는 외상으로 인한 부종이나 건막의 증식 그리고 수근관 내에 발생한 종양 등으로 인한 눌림이 원인

증상

  • 엄지, 검지, 중지, 손바닥 부위에서 저리고 타는 듯한 통증과 손 저림, 이상 감각
  • 잠자는 도중에도 손이 타는 듯한 통증을 느껴 잠에서 깨고 난 후 손목을 터는 것과 같이 손과 손목을 움직이는 동작을 계속하면 통증이 가라앉는 경우 발생
  • 손의 힘이 약해지고 손목을 잘 못쓰는 것과 같은 운동마비 증세가 발생
  • 찬물에 손을 넣거나 날씨가 추우면 손끝이 유난히 시리고 저린 증상도 흔히 관찰

진단 및 검사

신경 타진 검사, 수근 굴곡 검사, 전기적 검사 등

  • 신경 타진 검사 : 정중신경이 지나가는 손목의 신경을 손가락으로 눌러보면 정중신경 지배 영역에 이상 감각이나 통증이 유발되는 검사
  • 수근 굴곡 검사 : 손바닥을 안쪽으로 향하여 손목을 약 1분 동안 심하게 꺾어 정중신경 지배 영역에 통증과 이상 감각이 나타나거나 심해지게 하여 통증을 유발하여 검사
  • 전기적 검사 : 무지구 근육에서 근전도의 이상과 손목에서 신경전달 속도의 지연을 확인하는 검사

치료

비수술적 치료방법

손바닥에서 엄지 손가락 쪽 두툼한 부분) 근육의 위축도 없으면서 기타 증세가 비교적 가벼운 초기의 경우에 시도해 볼 수 있는데 무리한 손목의 사용의 금지, 손목에 부목 고정, 소염제 등을 이용한 약물치료, 수근관 내에 스테로이드, 소염제 주사 등이 가능

수술적 치료방법

근본적으로 횡 수근 인대를 잘라주어 수근관을 넓혀주는 것으로, 수근관 유리술(carpal tunnelrelease)이라 부르며, 피부 절개를 어떻게 하는지에 따라 개방 수술과 내시경적 수술방법으로 나눈다. 원인이 분명한 경우는 수근관 유리술 시에 원인을 제거하는 수술을 시행하여야 한다. 개방성 수근관 유리술은 국소 마취 하에 약 2~3cm 절개로 수술이 가능한 비교적 간단한 시술이나 내시경적 수근관 유리술은 피부의 절개가 줄어들어 수술 후 환자가 느끼는 통증이 줄어들 수 있는 장점과 회복이 빠르고 수술시간이 짧아 각광받고 있는 수술방법